중증 알코올 중독(Chronic Alcoholism) 단계에서는 술이 삶의 중심이 되어버려, 중독자가 스스로 회복하기 어려운 상태에 이릅니다. 이 단계에서는 가족과 주변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가족들이 취해야 할 행동을 정리한 가이드입니다.
1. 중독자의 행동을 관찰하고 현실을 직시하기
✅ 술을 못끊는 이유가 단순한 의지 문제가 아니라, 뇌와 신체의 질병임을 인식하기
✅ 중독자의 행동 패턴과 증상을 관찰하고, 얼마나 심각한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 개인의 의지에 기대하기 보다는,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고민하기
🔹 예시 대화법
❌ 잘못된 대화 : "당신이 의지만 있으면 술을 끊을 수 있을 거야!"
✔ 올바른 대화 : "알코올 중독은 치료가 필요한 병이야. 우리 같이 해결해 보자."
중증 알코올 중독 상태에서는 이미 개인의 의지로는 술을 끊기 쉽지 않은 상태 입니다. 이 때 가족들은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환자 스스로 이겨내길 기대하지 말고 질병임을 인식하여 대처하여야 합니다.
2. 가족이 중독자의 행동을 방조하지 않기 (공동의존 피하기)
✅ 중독자가 술을 마시는 것을 핑계 대주거나, 감싸지 않기
✅ 돈을 빌려주거나 술을 구해주는 등의 행동을 하지 않기
✅ "술을 마셔도 괜찮다"는 신호를 보내지 않기
🔹 예시 행동
❌ 잘못된 대화 : "빈 속에 술마시지 말고 내가 안주 만들어 줄께, 오늘까지만 마셔."
✔ 올바른 대화 : "술을 마신다면 너를 도와줄 수 없어. 대신 네가 치료를 받는다면 도울께."
중독자들이 술을 마시는 것을 이해해줘서는 안됩니다. '스트레스 때문에 마시겠지, 일이 힘들어서 마시겠지' 등등 이런 생각을 가지고 환경이 괜찮아지면 바뀔거 라는 생각을 가지는 순간 가족들까지 공동의존에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알코올 중독자의 가족에 대한 공종의존은 일전에 글을 써놓은 적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3. 술 문제에 대한 솔직한 대화 나누기
✅ 술로 인해 발생한 문제(건강, 경제, 가족 관계 등)를 사실적으로 전달하기
✅ 감정적으로 몰아세우기보다는 차분하게 이야기하기
✅ "네가 술을 끊지 않으면 나는 더 이상 지원하지 않겠다"와 같은 명확한 경계 설정
🔹 예시 대화법
❌ 잘못된 대화 : "술 때문에 지긋지긋해 술 좀 끊어!"
✔ 올바른 대화 : "당신의 음주때문에 우리 가족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싶어."
사실 알코올 중독자와 이런 대화를 나누는 자체가 쉽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술이 조금이라도 깬 아침에 정신이 약간이라도 돌아왔을 때 술에 대한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는것을 추천 합니다. 이 때 미운 마음에 감정적으로 대처한다면 대화를 이어 갈 수 없으니 차분하고 명확하게 가족들의 입장을 전달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전문가의 도움을 받도록 유도하기
✅ 정신과 전문의, 중독 치료센터, 재활 프로그램 등을 찾아보고 정보를 제공하기
✅ 강요하기보다는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 금주 모임(AA, 단주클럽) 또는 상담 센터 방문을 권유하기
알코올 중독의 가장 좋은 방법은 전문가와 상담을 하거나 약물 치료를 받아보는 것입니다. 하지만 거의 모든 중독자들이 쉽게 병원에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기도 합니다. 이럴 경우 처음부터 정신과 상담 보다는 금주 모임이나 금주 커뮤니티에 가입하여 같은 처지에 있거나 중독을 이겨낸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면서 중독자 자신이 스스로 상담을 선택하도록 유도해 보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최후의 수단 : 강제 치료 고려하기
✅ 중독자가 치료를 거부할 경우, 법적인 강제 치료 방법(입원 치료, 보호 감호 등) 고려하기
✅ 전문가 상담 후 가족이 협력하여 결정을 내리기
🔹 강제 치료를 고려해야 할 상황
✔ 심각한 중독 증상(발작, 섬망, 심각한 정신 착란) 발생
✔ 중독자가 가족에게 폭력을 행사하거나, 자해 행동을 보이는 경우
✔ 알코올로 인해 건강 악화로 생명에 위협받는 수준에 도달한 경우
위와 같은 회유의 방법이 통하지 않고 술로 인해 일상생활이 완전 망가진 경우 더 큰 사고를 막고 중독자의 삶을 위하여 강제 입원을 고려해 보세요. 그 과정에서 마음이 아프고 지켜보는 것이 힘들긴 하겠지만, 중독자의 삶, 중독자의 건강이나 가족을 위한 행동이라고 생각하고 마음을 굳게 먹으세요.
💡 강제 치료는 마지막 선택이며, 신중하게 전문가와 상담한 후 결정해야 합니다.
6. 가족들도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 중독자의 문제를 혼자 떠안지 않기
✅ 가족들이 함께 상담을 받으며 알코올 중독 치료에 관한 방법을 배우기
✅ 가족의 정신 건강을 위해 알코올 중독자와 적절한 거리 두기
🔹 예시 행동
✔ 중독자와 논쟁하기보다는 차분하게 자신의 감정을 조절
✔ "가족 지원 모임" 또는 "알코올 중독자 가족 모임" 참석 고려
📌 가족들이 하면 안 되는 행동 요약
🚫 중독자의 행동을 변명해 주거나 방조하기
🚫 "네가 정신 차리면 끊을 수 있을 거야" 같은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기
🚫 화를 내며 강압적으로 끊으라고 강요하기
🚫 무조건적인 희생으로 중독자를 돕겠다고 나서기
'가족이 함께 회복의 길을 찾아야 합니다'
만성 알코올 중독자는 스스로 변화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가족이 적절한 방식으로 개입하면 회복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술을 끊는 것은 단순한 결심이 아니라, 치료와 지원이 필요한 과정입니다. 가족도 혼자서 감당하지 말고, 전문가와 함께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금주,금연 > 금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을 못 끊으면 다이어트에 실패합니다. (2) | 2025.02.12 |
---|---|
알코올 중독(의존증)의 진행과정 (0) | 2025.02.12 |
알코올 중독자(의존증) 가족들이 가장 중요하게 알아야 하는것!! (0) | 2025.02.09 |
알코올 중독 치료를 위한 모임 안내 (1) | 2025.02.08 |
술과 탈모? (1)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