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금연/금주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6가지

JANG8E 2025. 2. 16. 10:15
반응형

 

알코올중독은 중독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지인에게도 큰 영향을 미치는 병입니다. 하지만 많은 가족이 중독자를 위한 선의로 생각하고 해왔던 행동이 오히려 중독을 악화시키기도 합니다.

 

"어떻게 해야 중독자가 술을 끊을 수 있을까?"

 

"중독자를 도와주려면 가족이 도와주려면 어떤 행동을 피해야 할까?"

 

이 글에서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6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중독자의 회복을 돕고 가족이 지치지 않도록 꼭 숙지하세요!


 

1. 술 문제를 부정하고 감싸기 (방관하는 태도)

 

알코올중독은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악화됩니다. 하지만 가족들이 중독자의 음주를 정당화하거나 그 행동을 이해하려고 하면 문제 해결이 더 어려워집니다. 

❌ 하지 말아야 할 행동

  • '마시는 이유가 있겠지...' 라며 문제를 축소하기
  • 중독자가 음주로 저지른 실수를 대신 해결해 주기
  • 술 마신 이유를 변명하며 주변 사람들에게 대신 사과하기

✅ 이렇게 하세요!

  • 알코올중독이 심각한 문제임을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 중독자의 행동을 감싸지 않고, 술을 끊을 수 있도록 도움 요청하기

 

2. 감정적인 설득으로 금주를 요구하지 말기.

 

중독자는 단순한 의지가 부족하여 술을 끊을 수 없습니다.  뇌가 스스로를 제어 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감정적으로 다그치거나 강요한다고 술을 끊을 수 없습니다.

❌ 하지 말아야 할 행동

  • "제발 술 좀 끊어!" 라며 감정적으로 소리치기
  • "네가 마음만 먹으면 술을 끊을 수 있어" 라며 의지 문제로 몰아가기
  • "이번 한 번만 봐줄게" 라며 반복적으로 용서하기

✅ 이렇게 하세요!

  • 감정을 앞세우기 보다는 "네가 술을 마신다고 문제가 해결 될 수 없어, 그리고 이런식이면 나도 너를 도와줄 수 없어 다만 치료를 생각한다면 도와줄께" 같은 진솔한 대화 시도하기
  • 전문가 상담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기
  • 전문적인 상담이나 약을 이용하여 금주한 사례를 찾아서 중독자와 공유하기

 

3. 술을 숨기거나 강제로 통제하기

 

술을 숨기거나 강제로 못 마시게 하면, 중독자는 더 강한 욕구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은 오히려 음주 문제를 악화시킵니다.

❌ 하지 말아야 할 행동

  • 집에 있는 술을 몰래 버리거나 숨기기
  • 술 마시는 중독자를 강제로 방에 가두기
  • 금전적 지원을 끊고 협박하기

✅ 이렇게 하세요!

  • 술 문제를 숨기기보다는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기
  • 가족이 통제할 수 없는 문제임을 인정하고 전문가의 도움 받기

 

4. 비난하고 수치심을 주기

 

중독자는 이미 죄책감을 느끼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가족들이 반복적으로 비난하면, 오히려 더 깊은 중독으로 빠질 수 있습니다.

❌ 하지 말아야 할 행동

  • "너는 맨날 술먹으면이렇게 실수만 해!" 라며 과거 실수를 반복해서 언급하기
  • 가족과 친척들 앞에서 중독자를 창피하게 만들기
  • "네가 이럴 줄 몰랐다" 라며 실망감을 강조하며 죄책감을 심어주기

✅ 이렇게 하세요!

  • 감정보다는 해결 방법을 중심으로 대화하기
  • 중독자가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긍정적인 방식으로 유도하기

 


 

5. 치료를 강요하거나 혼자 해결하려 하기

 

알코올중독은 가족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전문가의 도움 없이 가족이 모든 걸 책임지려고 하면, 오히려 스트레스만 커집니다.

❌ 하지 말아야 할 행동

  • 가족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희생하기
  • "우리가 더 잘해주면 술을 끊을 거야" 라는 착각에 빠지기

✅ 이렇게 하세요!

  •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차분하게 설득하기
  • 가족들이 먼저 알코올중독 전문 상담소나 병원의 도움을 받기
  • 가족도 심리 상담을 받으며 스트레스 관리하기

 

알코올 중독 치료, 가족이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마세요!

 

알코올중독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치료가 필요한 질병입니다. 가족이 감싸거나 강요한다고 해결되지 않으며, 전문가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중독자의 문제를 인정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하세요.


비난과 강요보다는 현실적인 해결 방법을 찾으세요.


가족도 심리 상담을 받아 스트레스를 관리하세요.

 

중독자의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이 모든 걸 혼자 해결하려 하지 않는 것 입니다. 알코올중독은 전문적인 치료와 재활이 필요한 질환이므로, 올바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가족이 올바른 대응을 할수록, 중독자가 건강한 삶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응형